본문 바로가기

Liebling | 독일 일상/독일에서 공부하기

[독일 대학 Blahblah] 독일 학석사 논문쓰기 1탄. 논문 담당자 배정 및 주제 결정

728x90
반응형

한국 대학에서 학사 논문, 독일에서 학/석사 논문을 모두 써본 유학생으로서, 독일과 한국 논문 준비 과정에서 독일이 정말 월등하게 좋다고 생각했던 부분은
1. 기본적인 평가 기준이 명확하게 명시되어있다는 것,
2. 테마를 고를 때 교수 혹은 박사과정 중인 학생이나 박사후 과정 중인 담당자(Betreuer/-in | engl. Supervisor)와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논문 시작부터 끝까지 배정 받은 담당자와 세부적인 부분을 상의하면 된다는 것,
3. 여러 기관이나 보조 프로그램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어떤 점이 학석사 논문을 쓸 때 좋았는지 차차 풀어가도록 하겠다.
- 참고로 미디어 심리학 분야를 전공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기준이 심리학에 초점 맞춰져 있으며, 기본적인 골자는 이 글을 통해 방향을 잡을 수 있으나 학교마다 프로그램/전공 과목 등의 여러 요인에 따라 정보 차이가 있음을 밝힌다.

Bachelor - / Master arbeit 와 Lehrstuhl 기준 및 연락 과정

 

우선 심리학 분야를 기준으로 말하자면, 연구가 대부분은 실험 혹은 서베이 등을 통해 진행되며 이러한 결과를 분석하고 비판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어있다.

  • 담당자 배정 및 테마 결정
  • Exposé 제출
  • 연구 방법 및 가설 설정
  • < 실험/서베이 시작 및 데이터 수집
  • 데이터 분석 및 해석, 비판(토론)
  • 논문 작성 및 제출

어떻게 교수와 컨택을 해야하는가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는데, 내 학교의 경우 다음 과정을 통해 담당자가 결정되었다.

  • Infoveranstaltung을 진행하고, 테마 및 담당자 (Wissenschaftliche Mitarbeiter*innen) 소개 시간
    >> 각 Lehrstuhl 마다 주요 테마를 소개하고, 그 Lehrstuhl을 이끌어가는 교수진과 그에 속해 있는 교직원/강사들을 모두 소개하는 세미나가 진행되었다.
  • 현재 진행하고 있는 연구 테마나 비슷한 테마와 관련하여 짧게 자신이 원하는 논문방향을 메일로 작성하여
    자신이 원하는 담당자를 최대 2명 골라 해당 Lehrstuhl (지정된 메일 주소를 대체로 알려줌) 메일 주소로 슝슝- 보낸다.
  • 학생이 원하는 테마 내용을 보고 각 파트의 교수와 교직원들이 상의한 후에 담당자를 배정해준다.
    (사실 자신이 원하는 담당자에 배치되는 일은 거의 없는 듯하다. 석사나 학사 기간동안 친구들과 이야기해 본 결과
    원하는 사람에 배치된 아이는 본적이 없다)
    >> 그러나, 배정된 담당자와 잘 논의하여 자신이 원하는 테마나 연구 방향을 자유롭게 제시할 수 있고,
    주제를 정하지 못한 학생이라면 담당자가 하고 싶어했던 (대기타고 있던) 연구 주제를 추천 받아서 더 발전시킬 수 있다.
    >> 요런 부분이 막연했던 학석사 연구방향을 아주 잘 이끌어주었던 것 같다.
    + Betreuer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 얼마나 관계를 잘 쌓아가느냐가 논문의 질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인듯!!!

 과학 분야의 논문 담당자/교수 결정

생물학, 생화학, 화학과 같은 분야는 어떤 실험을 본인이 학석사 기간동안 해봤는지, 어떤 실험 방법을 알고 있는지, 어떤 분야에 관심있는지에 따라서 직접 교수와 컨택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가령, 유전학에 관심이 있다면 논문쓰는 학기의 2-3학기 이전부터 관심있는 교수와 컨택하여 자신의 Motivation을 보여주거나 방학 때 해당 실험실에서 짧게는 1개월 길게는 6개월에서 1년간 Praktikum을 해볼 수도 있다.

  • 특히, 이 과들은 대체로 학기 때 원하는 방향을 3-4학기 때부터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교수나 교직원/강사들과 컨택할 기회가 많다. 고로 자신의 큰 실수나 무례함은
    이후 학교생활에 많은 감점 요인(점수가 아니라, 일반적인 학교생활과 자신의 학업 기간의 평가)이 될 수있으니
    주의하자. 대체로 실험실에 어떤 학생을 받기 전에 주변에 평판이나 실력을 묻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기에 그들의 입김에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평가받는 입장이 될 수있다.
  • 경쟁이 심하거나 인기가 많은 실험실인 경우, 성적순으로 논문을 쓸 수 있는 자격이 결정될 수 있다.
  • 또한, 대체로 과학 분야는 이미 실험실에서 기존에 진행하고 있던 주요 실험 테마가 있기 때문에 자신이 논문 주제를 정하는데에는 제한이 있는 편이다.

자주 묻는 질문

 

  1. 학위논문은 언제부터 작성한가?
    Ab wann bzw. in welchen Zeitraum kann die Bachelorarbeit geschrieben werden (ist das individuell oder festgelegt)?
    • 학과별 포털(인트라넷)에서 등록한 후부터 시간이 정해지게 된다. 학사는 대체로 10주, 석사는 6개월이며 담당자와 상의하여 주제가 결정되면 Antrag을 작성하고 이를 시험청에 제출 후시험청에서 주제와 기간을 등록하게 되면 바로 제출 날짜를 확인할 수 있다.
  1. 방학 중에 논문 작성이 가능한가, 아니면 다음 학기가 시작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가?
    • 이건 전적으로 배정받은 논문 담당자의 재량에 달려 있다. 즉, 방학이든 학기 중이든 언제든 가능하지만 이건 담당자와 상의해야 할 부분이라는 것이다.  논문 담당자를 찾고 주제가 결정되면 등록 후, 연구(Survey, Experiment etc.)나 글쓰기를 바로 시작할 수 있다. 사전에 텍스트를 읽고 주제에 익숙해지는 것이 허용되며 학생으로서 언제든지 함께 쓸 수 있다. 
    • 내 경우에는 담당자가 워낙 바쁘기도 해서 등록 이전에 논문 주제를 몇 가지 정리하고 연구 모델을 구상해서 회의를 진행하고, 담당자가 바쁜 학기 중 시간이 지난 이후에 논문 주제 등록을 진행하였다. (내 논문을 좀더 시간 내서 같이 고민해주고 조언해주길 바랐기 때문에..;;)
    • 많은 담당자들이 일단 등록된 후에만 논문 코치에 좀더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점은 고려해야할 사항이다. 
       

 

이미지 출처 : https://unsplash.com/

    728x90
    반응형